2025년 6월 28일,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경기, 인천, 코레일) 지하철 기본요금이 교통카드 기준 1,400원에서 1,550원으로 150원 인상된다. 청소년 요금은 800원에서 900원, 어린이 요금은 500원에서 550원으로 각각 오른다. 현금 1회권은 성인·청소년 1,500원에서 1,650원, 어린이 500원에서 550원으로 인상된다. 이번 인상은 2023년 10월 7일 150원 인상에 이은 두 번째 인상으로,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 코레일이 협의해 결정했다.
1) 만성적자와 경영 악화
서울교통공사는 2017년 통합 출범 이후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려왔다. 2024년 말 기준 당기순손실은 7,241억 원, 누적 적자는 18조 9,222억 원으로 19조 원에 육박한다. 부채는 7조 3,474억 원, 하루 이자만 3억 원이 넘는다. 2023년 적자도 7,288억 원에 달해, 재정 건전성이 심각하게 악화됐다.
2) 운영비 증가와 물가 상승
국제 유가 상승, 전기료·인건비·시설 유지비 등 운영에 필요한 고정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15년 이후 약 10년간 요금이 동결되면서, 요금 현실화율이 현저히 낮아졌다. 기존 요금으로는 원가의 33%밖에 충당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이로 인해 운영비 증가분을 요금으로 보전하지 못해 적자 폭이 확대됐다.
3) 무임승차 및 이용객 감소
고령화로 인한 무임승차(노인, 장애인 등) 손실이 연간 1조 5,290억 원에 달한다. 코로나19 이후 대중교통 이용객이 줄면서 운송 수입이 감소했고, 활성 이용객이 줄어들면서 수익성도 악화됐다9. 무임승차에 따른 손실은 국가의 교통복지 정책에 따라 운영기관이 부담하고 있어, 구조적 재정 악화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4) 정책적 요인과 인상 시기 조정
서울시는 2023년 10월 150원 인상 후, 2024년 하반기에 추가 150원 인상을 계획했으나,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와 경기도 등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의 지연, 총선 등 정치적 변수로 인해 인상이 연기됐다. 2025년 6월, 경기도의회 등 관련 기관의 합의로 인상이 확정됐다.
1) 재정 개선 효과
서울교통공사는 이번 인상으로 연간 1,600억 원 이상의 추가 수입을 기대하고 있다6. 하지만 누적 적자 해소에는 한계가 있으며, 적자 구조를 완전히 개선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다.
2) 시민 부담 증가
성인 기준 월 20회 지하철을 이용하는 경우, 월 3,000원가량의 추가 부담이 발생한다. 대중교통 의존도가 높은 서민, 청소년, 저소득층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특히 교통비는 생활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서민 체감 물가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3) 물가 상승 압력
지하철 요금 인상은 버스, 택시 등 다른 교통수단 요금 인상과 연계될 가능성이 높고, 전반적인 공공요금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생활물가 전반에 영향을 미쳐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
4) 대중교통 이용 패턴 변화
요금 인상으로 일부 시민은 대중교통 대신 자전거, 전동킥보드, 자동차 등 대체 이동수단을 선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대중교통 이용률이 감소할 경우, 교통 혼잡 및 환경적 부작용(탄소배출 증가 등)이 우려된다.
5) 서비스 품질 및 정책 대응
재정 개선을 통해 안전, 시설 유지, 서비스 품질 향상에 일부 재원이 투입될 수 있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 등 정기권 정책, 교통비 지원 확대 등 취약계층 부담 완화책을 병행할 계획이다.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은 단순한 물가 상승 때문만이 아니라, 만성적자, 운영비 증가, 무임승차 확대, 요금 현실화 필요성 등 복합적이고 구조적인 원인에 기인한다. 인상으로 재정은 일부 개선되지만, 시민 부담과 사회적 파장, 대중교통 이용 패턴 변화 등 부정적 영향도 크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는 취약계층 지원, 서비스 품질 개선 등 보완 정책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표: 2025년 6월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 내역
구분 | 인상 전(카드) | 인상 후(카드) | 인상폭 |
성인 | 1,400원 | 1,550원 | 150원 |
청소년 | 800원 | 900원 | 100원 |
어린이 | 500원 | 550원 | 50원 |
현금(성인/청소년) | 1,500원 | 1,650원 | 150원 |
현금(어린이) | 500원 | 550원 | 50원 |
2025년 6월 서울지하철 요금 인상은 불가피한 재정·운영 환경 변화와 정책적 필요에 따른 조치다. 인상은 재정 안정화와 서비스 유지에 기여할 수 있으나, 시민 부담 증가와 사회적 파장도 크다. 장기적으로는 대중교통 재정구조 개선, 무임승차 손실에 대한 국가 지원 확대, 요금 체계의 합리화, 취약계층 지원 강화 등 종합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
2025년 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가 인상된다. (0) | 2025.07.25 |
---|---|
민생지원금 소득별 지급 및 신청 방법/기간, 소득구간 기준(상위 10%) (10) | 2025.07.08 |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 이유와 대한민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2) | 2025.06.24 |
재무회계팀은 뭐하는 거지??? (1) | 2025.06.20 |
스테이블코인의 뜻과 종류(USDT/USDC/BUSD/DAI) (0) | 2025.06.19 |